본문 바로가기
건강

한쪽귀가 먹먹해요 통풍인가요?

by 젊은사자 2020. 3. 6.
반응형

귀는 우리 모든 기관이 들어가 있어 소화가 안될 때 귀 가운데를 꾹꾹 눌러주면 소화에 도움이 되는 등 전신의 신경과 혈관이 연결되어 있는 중요한 기관이죠~ 귀에도 염증이나 여드름등이 발행하고 요즘에는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장시간 착용함으로써 먹먹함이나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것 같습니다.

이름난 장수촌의 장수비결 가운데 하나가 매일 밤마다 귀를 비비고 빨갛게 될 정도로 자극을 주고 잠자리에 드는 것이라고 합니다. 한의학에서는 귀를 인체의 축소판으로 보고 장기에 대응하는 부위에 침을 놓아 치료했다고 할 정도로 귀는 우리에게 중요한 기관이라 할 수 있습니다.

귀의 먹먹함을 느끼는것은 청각적으로 이상이 확인되는 난청으로 생긴 귀 먹먹함, 청각적 이상이 없는 코와 귀를 연결하는 이관 기능장애로 귀의 먹먹함을 느낄수 있습니다. 난청으로 인해 갑자기 귀가 멍멍하다면!! 그것은 급성 난청의 증상으로 3일 이내 빠른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급성 난청은 큰 의미로 돌발성 난청을 생각할 수 있지만 귀 먹먹함이 주 증상인 급성 저음성 난청의 (청력 저하가 저주파수 영역에 한해 발생) 경우 돌발성 난청보다 치료가 잘 되지만 재발 또한 잘 되는 병입니다.

이관기능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은 검사 상 청력은 정상입니다. 또한 자세 변화에 따라 증상이 좋아지기도 하고,

아침에만 혹은 오후에만 이렇게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. 치료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청각적 이상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는 것 잊지 마세요~

 

먹먹함은 아니지만 만일 귓바퀴 주위에 흰색 멍울이나 혹이 생겼다면 귀 통풍결절도 의심해보셔야 합니다. 통풍은 체내 요산수치가 높아질 경우 과다하게 발생한 요산이 관절이나 신체 말단 부위에 쌓이게 되어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.

비만, 운동부족, 음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통풍이 발생되는데 초기에는 증산이 없지만 요산 수치만 높은 고요산혈증을 띄게 되죠~ 이때 관리가 소홀해질 경우 갑자기 환부가 부으면서 급심한 통증과 함께 열, 오한이 나타나게 됩니다. 귓바퀴의 경우 피부가 얇기 때문에 귀 통풍결절을 발견하기 쉽습니다. 기분 나쁜 찌릿함이나 날카로운 것에 스치는 드한 통증이 반복된다면 귀에 통풍결절이 생긴것이라 생각하시고 병원에 내원하셔서 진단을 받으셔야 합니다.

반응형

댓글